1만3,500원 금계탕 티몬에서는 ‘반값’
2016.07.26
삼계탕 설문조사 응답자 72% 비싸다고 지적
1만3,500원 금계탕 티몬에서는 ‘반값’
-삼계탕가격 올해 서울평균 1만3,500원… 설문 응답자의 72%가 비싸다
-간편 보양식 구매 이유 편의성 68.6%, 저렴한 가격 36.8%로 편의성과 가격이 핵심
-간편 삼계탕 조리제품 평균가격 6,130원으로 서울시내 평균 식당 가격의 반값에 구입 가능
티켓몬스터(대표 신현성)가 운영하는 국내 대표 소셜커머스 티몬(www.tmon.co.kr)이 중복을 맞아 20~50대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2%가 식당에서 사먹는 보양식의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을 보였다.
행정자치부에서 최근 발표한 서울의 삼계탕가격은 평균 1만3500원이다. 응답자들은 이 같은 삼계탕 가격에 대해 72.8%가 점심으로 사먹기에는 비싼 부담스러운 가격이라고 답했다. 반면 21.2%는 비싸긴 하지만 특별한날에 먹을 수 있는 가격이라고 말했다.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사람은 1.2%에 불과했다.
보양식 가격이 비싸다고는 답했지만,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보양식을 챙겨먹고 있었다. 지난 초복에 보양식을 먹었냐는 질문에 82%가 그렇다고 답했다. 더불어 보양식을 먹는 장소의 경우 직장이나 집 근처 식당에서 먹었다는 응답이 50%, 직접 조리해서 먹었다는 답변이 30.2%, 유명 식당을 찾아가서 먹었다는 답변은 15.2%가 나왔다.
한편 최근 각 가정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간편 보양식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귀찮은 요리과정 없이 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 68.6%로 가장 높았고, 그 다음 저렴한 가격 때문이 36.8%를 차지했다.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간편 보양식의 적정 가격은 5천원~1만원이 73.2%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. 1만원에서 1만5천원 사이가 12.4%, 5천원 이하여야 한다는 의견도 10.4%로 나왔다.
이처럼 선호하는 보양식의 가격대와 비싼 외식 비용의 차이 탓에 티몬에서는 값싸면서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보양식 제품의 판매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. 티몬에서 판매되고 있는 삼계탕 가격은 평균 6,130원이며 반계탕의 경우 이보다 저렴한 4,075원이다. 가격경쟁력과 편의성 덕택에 티몬내 삼계탕 매출은 지난해 대비 50%가량 증가했다.
티몬에서 올 7월1일부터 24일까지 가장 많이 판매된 삼계탕은 하림 고향삼계탕(800g, 5,850원)이며, 금산 가마솥 힘계탕(900g, 4,600원), 은진삼계탕(1kg, 4,800원) 순으로 6,000원 이하의 제품들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다.
티몬은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보양식을 구매할 수 있도록 복날 ‘보양식대첩’ 기획전을 진행하고 삼계탕, 오리, 건강식품 등 70여종의 상품에 한정 프로모션딜을 포함해 최대 93%할인가에 판매하고 있다.
배윤아 티켓몬스터 식품팀장은 “소비자들이 무더위 속에서 부담 없는 가격으로 보양식을 챙겨 드실 수 있도록 가격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반계탕 등 상품종류를 다양화했다”며 “앞으로 티몬은 소비자들이 안전한 먹거리를 통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”이라고 말했다.
